4. 기본 설정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CMS의 메뉴를 추가, 수정, 삭제 기능을 통하여 메뉴를 구성하는 화면
CMS에 설정되어 있는 메뉴 구조를 표시한다.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상세 정보가 우측 (2)에 표시 되고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
메뉴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Open All 버튼 : 메뉴 트리를 모두 확장한다.
Close All 버튼 : 메뉴 트리를 모두 축소한다.
메뉴별 설정값 영역
메뉴명 : 추가 또는 수정할 메뉴명을 50자 이내로 입력한다.
유형 : 직접 입력 또는 게시판을 선택하여 메뉴 링크를 저장한다.
사용 유무 : 메뉴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버튼 영역
메뉴 추가 : (4) 새 양식 버튼 클릭 시 (5) 최상위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1차메뉴를 등록하거나, 기존에 등록된 최상위메뉴를 (1)에서 선택하여 (2)의 입력폼을 수정한 후 (6) 하위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하위 메뉴를 등록한다.
메뉴 수정 : 기존에 등록된 메뉴를 (1)에서 선택하여 (2)의 입력폼을 수정한 후 (8) 저장 버튼을 클릭한다.
메뉴 삭제 : 기존에 등록된 메뉴를 (1)에서 선택한 후 (9) 삭제 버튼을 클릭한다.
메뉴 이동 : (7) 이동 버튼을 각각 클릭하여 같은 단계 내의 메뉴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위 또는 하위 단계 메뉴로의 이동은 할 수 없다.
CMS에 등록되어 있는 게시판의 목록을 표시하며 선택 버튼 클릭 시 링크에 자동 입력한다
CMS 1차메뉴 출력 시 좌측 아이콘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선택한다.
CMS 메뉴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부서별, 그룹별 권한을 설정하는 화면
(1)에서 메뉴 선택 시 (2)에서 해당 사용자, 부서, 그룹 등을 선택하여 (3)으로 이동시킨 후, 보기 또는 관리를 선택하여 권한을 설정한다.
CMS에 설정되어 있는 메뉴 구조를 표시한다. 메뉴를 선택하면 기존에 설정된 사용자/부서/그룹 권한이 (3)에 표시된다.
메뉴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Open All 버튼 : 메뉴 트리를 모두 확장한다.
Close All 버튼 : 메뉴 트리를 모두 축소한다.
사용자/부서/그룹별 항목을 검색하는 영역
사용자 탭 :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하단 리스트에 구성한다.
부서 탭 : 부서 정보를 하단 리스트에 구성한다.
그룹 탭 : 그룹 정보를 하단 리스트에 구성한다.
보기/관리 선택 : 선택된 항목의 보기/관리 권한을 선택한다.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항목 리스트 : 사용자/부서/그룹 각 항목의 이름 및 ID를 표시한다.
설정된 사용자/부서/그룹의 권한 표시 영역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항목 리스트 : 사용자/부서/그룹 각 항목의 이름과 보기/관리 권한 설정으로 구성
저장 버튼 : 선택된 CMS 메뉴에 설정한 사용자/부서/그룹별 권한 내용을 저장한다.
CMS에 등록된 사용자 및 회원을 확인 및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
현재 리스트에 표시된 항목의 전체 건수와 검색 폼, 버튼 등이 표시되는 영역
검색 폼 :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 권한 / 인증구분 / 승인구분을 선택 후 사용자명 또는 ID를 입력하여 검색한 결과를 (2) 영역에 표시한다.
등록 버튼 :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사용자/회원 리스트 : 해당 리스트는 사용자명(사용자ID), 인증구분, 기본 사이트, 최종 로그인, 등록일자, 승인일자를 표시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해당 사용자의 정보 수정 페이지로 이동한다.
관리자 회원의 경우 사용자명 좌측에 별도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현재 표시된 리스트 정보를 Excel로 Export 하여 로컬에 저장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 시 다운로드 받은 엑셀 파일에 엑셀 자체암호가 설정되며, 비밀번호 미입력 시 자체암호가 설정되지 않는다. 사유 란은 필수 입력해야 한다.
CMS 사용자를 등록 및 수정하는 화면
사용자 기본 정보 영역
사용자 ID : 사용자 ID를 50자 이내로 입력한다. 중복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중복 체크를 한다.
비밀번호 초기화 버튼 : 수정 시에는 비밀번호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아이디와 동일한 비밀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비밀번호/비밀번호 확인 :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하여 8~20자 이내로 입력한다.
사용자명/닉네임 : 사용자명 및 닉네임을 50자 이내로 입력한다.
권한 : CMS 로그인이 가능한 관리자 또는 직원을 선택한다.
이메일 : 사용자 이메일을 입력한다.
기본 사이트 : 회원으로 지정되는 기본 사이트를 선택한다.
관리 사이트 : 기본 사이트를 선택한 경우 Default로 체크된다.
로그인 유무 : CMS 로그인 허용, 배포용 페이지의 로그인 허용, 불가를 선택한다. 불가를 선택할 경우 로그인 불가 사유를 작성해야 한다.
사용자 인증 및 접속 정보 영역 : 이미 등록된 회원인 경우에만 표시된다.
인증 구분/사용자 구분 : 사용자가 인증된 방법 및 구분 내용을 표시한다.
등록일시, 등록 IP, 승인일시, 승인 ID, 패스워드 변경일시, 개인정보 재동의일시, 회원정보 최근 수정일시, 수정 IP, 최근 로그인 일시, IP, 횟수 등을 표시한다.
사용자 개인 정보 영역
생년월일, 연령대, 양/음력, 전화번호, 모바일 번호, 팩스 번호, 주소, 법정동 지역, 메일링 유무, SMS 수신여부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한다.
프로필 구분 방법 선택에 따라 프로필 링크 이미지, 프로필 파일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부서 및 업무 정보 영역
비고 항목 영역
버튼 영역
저장 버튼 :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 또는 수정한다.
삭제 버튼 : 수정 중인 사용자의 정보를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목록 버튼 : 사용자/회원 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한다.
사용자/회원의 비고 항목을 관리하는 화면
등록된 항목을 표시한다.
좌측 정렬순서 변경 버튼을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버튼 영역
새 양식 버튼 : 입력폼을 초기화한다.
등록 버튼 : 항목의 현재 내용을 저장한다.
삭제 버튼 : 현재 항목을 영구히 삭제한다.
항목의 세부 내용을 입력한다.
항목 명칭, 항목 설명 등을 입력한다.
Class : 항목이 적용되는 Class 명칭을 입력한다.
형식 : 항목의 입력 형식을 선택한다.
코드 그룹 : 단일/다중, 코드단계 선택 시 공통코드의 코드그룹을 입력한다.
필수 : 선택 시 필수 항목으로 설정된다.
암호화 : 항목 내용이 개인정보 등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 선택한다.
사용유무 : 항목의 사용유무를 선택한다.
직원연계 정보를 기반으로 직원 사용자를 일괄등록하는 화면
버튼 영역
연계정보 저장 버튼 : 현재 입력폼에 저장한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연계정보 삭제 버튼 : 저장되어 있는 연계정보를 삭제한다.
일괄등록 버튼 : 현재 저장된 연계정보를 기반으로 일괄등록 한다.
연계 정보의 설정값을 입력한다.
파일 위치 : 연계 데이터가 있는 실제 파일경로 및 파일명까지 입력한다.
구분자 : 연계 데이터에서 항목의 구분자를 입력한다. (예 : | 또는 , )
문서 포맷 : 연계 데이터 파일의 문서 포맷을 입력한다. (예 : EUC-KR, UTF-8)
사용자ID 중복 항목 : 선택 시 기존 사용자ID가 존재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업데이트한다.
여성 : 데이터에서 성별 중 여성을 구분하는 값을 입력한다. 여러 건은 쉼표(,)로 구분한다. (예 : 여성,여,여자,F,2) 해당값이 없으면 기본값(남성)으로 등록된다.
제외 부서 : 제외할 부서의 시작코드 입력 시 해당 코드로 시작되는 부서코드는 로그인 불가 처리되어 등록된다.
사유 : 제외 부서에 등록한 부서코드별 로그인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해당 코드가 없으면 로그인 불가 사유가 ‘기타’로 입력된다. ‘부서코드:사유’ 형식에 맞추어 입력한다. 여러 개인 경우 ‘,’로 구분한다. (예 : D629226:퇴직,D629070:파견)
부서 없는 직원 : 부서 데이터가 없는 직원에 대한 처리 방식을 선택한다.
처리안함 : 부서 데이터를 그대로 입력한다.
로그인 불가 : 사용자의 로그인 유무를 ‘로그인 불가’로 설정한다.
삭제 처리 : 해당 사용자를 삭제 처리(휴지통으로 이동)한다.
실제 테이블 삭제 :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 자체를 영구 삭제한다.
아이디 : 데이터에서 사용자ID를 입력할 때 처리 방식을 선택한다.
데이터 : 데이터에 입력된 사용자ID를 그대로 입력한다.
고정 사용자ID : 사용자ID를 ‘입력한 고정값’+’사용자ID’로 입력한다.
사용자ID 고정 : 사용자ID를 ‘사용자ID’+‘입력한 고정값’으로 입력한다.
비밀번호 : 데이터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처리 방식을 선택한다.
데이터 데이터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그대로 입력한다.
사용자ID : 데이터에 입력된 사용자ID를 비밀번호로 입력한다.
사용자ID 고정 : 비밀번호를 ‘사용자ID’+‘입력한 고정값’으로 입력한다.
고정 : 비밀번호를 ‘입력한 고정값’으로 입력한다.
데이터 : 연계 정보 데이터의 구성을 입력한다.
변수명의 구성 순서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배치해야 하며, 각 변수명은 파이프(|)로 구분한다.
부서/직급 명칭은 해당 CMS에 구성된 부서/직급 코드의 명칭을 비교 후 매칭되는 값으로 변환하며, 매칭되는 값이 없으면 공백으로 등록한다.
직급코드와 직급명칭이 존재하면 CMS에 존재하지 않는 코드는 등록하고 기존 코드는 업데이트한다.
사용자ID와 사용자명은 필수이며, 권한은 직원으로 등록된다.
사용할 수 있는 변수명은 해당 필드 아래 설명을 참고한다.
일괄등록 버튼 클릭 시 데이터의 처리 내용을 표시한다.
CMS 사용자의 CMS 사용 이력을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 및 사이트를 선택하고 사용자명, 사용자ID 등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이력을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사용자명, 사이트, 메뉴, 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사용자명, 사이트, 페이지, 작업내용, 일시 등의 이력 내용을 표시한다.
CMS 사용자의 로그인 로그를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 및 페이지 유형, 로그인 구분을 선택하고 사용자명, 사용자ID 등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로그를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사용자명, 사이트, 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사용자명, 사이트, 로그내용, 근무외, 접속일시 등의 로그 내용을 표시한다.
CMS 사용자의 권한 로그를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 및 유형을 선택하고 사용자명, 사용자ID 등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로그를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유형, 사용자명, 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유형, 사용자명, 변경내용, 작업자, 일시 등의 로그 내용을 표시한다.
CMS 사용자의 변경 로그를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을 선택하고 사용자명, 사용자ID 등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로그를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사용자명, 사이트, 메뉴, 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사용자명, 사이트, 변경내용, 작업자, 일시 등의 로그 내용을 표시한다.
CMS 사용자의 다운로드 로그를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을 선택하고 사용자명, 사용자ID 등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로그를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유형, 사용자명, 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사용자명, 사이트, 메뉴, 내용, 해당 파일의 Row 수, 개인정보 포함 여부, 사유, 일시 등의 로그 내용을 표시한다.
사용자/회원 중 직원을 관리하는 화면
선택된 부서의 직원 수를 표시한다.
직원 저장 버튼 : 현재 직원별 상세 내용을 일괄 저장한다.
직원 일괄 삭제 버튼 : 현재 부서의 모든 직원을 영구히 삭제한다.
부서별 직원의 상세 내용을 표시한다.
직원별 전화/모바일/팩스번호, 직책/직급, 담당업무, 정렬순서를 입력 및 수정할 수 있다.
제거 버튼 선택 시 해당 직원이 부서에서 제거되며, 직원 저장 버튼 클릭 시 해당 사용자의 부서 정보가 삭제된다.
CMS에 등록되어 있는 부서의 목록을 표시하며 선택 버튼 클릭 시 부서를 자동 입력한다.
CMS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회원 중 직원의 목록을 표시하며 선택 버튼 클릭 시 부서를 자동 입력한다. 부서 없는 직원 선택 시 부서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직원의 목록이 노출된다.
직원으로 설정된 사용자/회원 중 부서가 없는 직원을 확인하는 화면
사용자 ID 또는 사용자명으로 부서 없는 직원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된 직원의 전체 수를 표시한다.
선택된 직원 삭제 버튼 : (2)에서 선택된 직원의 부서 정보가 삭제되며, 다른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는 직원 권한을 영구히 삭제한다.
직원을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직원명, 직급/직책, 담당업무로 표시한다.
전체 선택/전체 해제 버튼 : 목록의 항목들을 전체 선택하거나 해제한다.
선택된 직원 부서지정 : 선택된 직원을 현재 선택된 부서에 지정한다.
직원을 부서별로 확인하는 화면
전체 부서 및 직원 수를 표시한다. 부서 선택 후 검색하여 (2) 영역에 출력한다.
조회된 부서 및 하위 부서의 부서 정보와 직원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CMS 사용자/회원의 그룹을 관리하는 화면
등록된 그룹의 목록을 표시한다. 그룹 선택 시 (3) 영역에 세부 정보를 표시한다.
버튼 영역
새 영역 버튼 : (3)의 입력폼을 초기화한다.
저장 버튼 : 현재 그룹 내용을 등록 또는 수정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선택된 그룹 내용을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그룹 세부내용 영역
그룹ID, 그룹명, 설명 등을 입력한다.
권한 그룹 : 선택 시 사용자/회원 관리의 권한 항목에 표출된다.
CMS 로그인 : 해당 그룹의 CMS 로그인 허용 여부를 선택한다.
사용유무 : 해당 그룹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그룹별 사용자를 배치 및 설정하는 화면
(1)에서 그룹 선택 시 (2)에서 사용자를 선택하여 (3)으로 이동시킨 후 저장한다.
설정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한다. 그룹을 선택하면 기존에 설정된 사용자 정보가 (2), (3) 영역에 표시된다.
그룹 ID와 그룹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CMS에 등록된 전체 사용자 목록을 표시한다.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사용자를 선택하여 이동 버튼 클릭 시 (3)에 추가된다.
기존에 해당 그룹에 설정된 그룹 사용자는 선택이 비활성화된다.
사용자 ID와 사용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설정된 그룹 사용자를 표시한다.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사용자를 선택하여 이동 버튼 클릭 시 (3)에서 제거된다.
저장 버튼 : 현재 그룹에 설정된 사용자 내용을 저장한다.
부서를 관리하는 화면
부서 구조를 표시한다. 원하는 부서를 선택하면 (4) 영역에 세부 정보를 표시한다.
부서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Open All 버튼 : 부서 트리를 모두 확장한다.
Close All 버튼 : 부서 트리를 모두 축소한다.
버튼 영역
새 영역 버튼 : (4)의 입력폼을 초기화한다.
최상위 추가 버튼 : 아무 부서도 선택되지 않았거나, 새 양식 버튼을 클릭했을 때만 활성화된다. 새 최상위 부서를 추가한다.
하위 추가 버튼 : 현재 선택된 부서의 하위에 부서를 추가한다.
순서이동 버튼 : 현재 선택된 부서의 순서를 위/아래로 변경할 수 있다. 상/하위 단계로는 이동할 수 없다.
저장 버튼 : 현재 선택된 부서의 내용을 수정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선택된 부서를 영구히 삭제한다.
부서 세부내용 영역
부서 ID, 부서명, 전화번호, 팩스번호, 부서담당, 부서업무 등을 입력한다.
사용유무 : 해당 부서 및 하위 부서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현재 부서에 대해 목록에서 부서를 선택하고 복사/이동 버튼을 클릭하여 부서를 원하는 위치로 복사/이동하는 화면. 목록에서 선택된 부서의 하위 단계로 복사/이동되며, 최상위 단계 버튼 클릭 시 최상위 단계로 복사/이동된다. 복사인 경우 ‘복사될 부서ID’ 입력필드에 새로 생성할 부서ID를 입력한다. (하위 부서는 ‘부서ID_일련번호’ 형식으로 지정된다.)
부서별 직원을 배치 및 설정하는 화면
(1)에서 부서 선택 시 (2)에서 직원을 선택하여 (3)으로 이동시킨 후 저장한다.
부서 구조를 표시한다. 원하는 부서를 선택하면 기존에 설정된 직원 정보가 (2), (3) 영역에 표시된다.
부서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Open All 버튼 : 부서 트리를 모두 확장한다.
Close All 버튼 : 부서 트리를 모두 축소한다.
직원으로 등록된 전체 사용자 목록을 표시한다.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직원을 선택하여 이동 버튼 클릭 시 (3)에 추가된다.
기존에 해당 부서에 설정된 직원은 선택이 비활성화된다.
사용자 ID와 사용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설정된 부서 직원을 표시한다.
선택항목 이동(<) / 전체 이동(<<) : 선택된 항목만 이동 / 전체 항목 이동 기능
직원을 선택하여 이동 버튼 클릭 시 (3)에서 제거된다.
저장 버튼 : 현재 부서에 설정된 직원 내용을 저장한다.
부서연계 정보를 기반으로 부서 정보를 일괄등록하는 화면
버튼 영역
연계정보 저장 버튼 : 현재 입력폼에 저장한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연계정보 삭제 버튼 : 저장되어 있는 연계정보를 삭제한다.
일괄등록 버튼 : 현재 저장된 연계정보를 기반으로 일괄등록 한다.
일괄삭제 버튼 : 전체 부서 정보를 영구히 삭제한다.
연계 정보의 설정값을 입력한다.
파일 위치 : 연계 데이터가 있는 실제 파일경로 및 파일명까지 입력한다.
구분자 : 연계 데이터에서 항목의 구분자를 입력한다. (예 : | 또는 , )
문서 포맷 : 연계 데이터 파일의 문서 포맷을 입력한다. (예 : EUC-KR, UTF-8)
부서ID 중복 항목 : 선택 시 기존 부서ID가 존재할 경우 해당 부서를 업데이트한다.
부서 2단계 항목 : 선택 시 데이터의 상위부서ID를 최상위로 치환하여 입력한다.
부서 제외 : 데이터의 부서코드 중 제외할 코드를 입력한다. 관련된 하위부서는 모두 제외되고 여러 건은 쉼표(,)로 구분하며, 앞 혹은 뒤에 ‘%’를 입력하면 LIKE 검색이 가능하다. (예 : siiru% 입력 시 → siiru01, siiru_05, siiruABC 등 검색하여 처리)
데이터 : 연계 정보 데이터의 구성을 입력한다.
변수명의 구성 순서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배치해야 하며, 각 변수명은 파이프(|)로 구분한다.
연계 데이터 중 변수값이 없는 데이터도 파이프(|)로 구분하여 배치한다. (예 : ${deptId}|${deptNm}|||${deptOrdr})
부서ID, 부서명, 상위부서ID, 부서단계, 부서순서는 필수이다.
사용할 수 있는 변수명은 해당 필드 아래 설명을 참고한다.일괄등록 버튼 클릭 시 데이터의 처리 내용을 표시한다.
일괄등록 버튼 클릭 시 데이터의 처리 내용을 표시한다.
CMS에서 전송하는 SMS 또는 MAIL의 스킨 목록을 확인 및 관리하는 화면
전체 스킨 수를 표시한다.
전체 스킨을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스킨 구분, 전송 명, 전송 설명, 최종 버전, 작성 일시로 구성된다.
전송 명 클릭 시 해당 스킨의 수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전송할 스킨의 유형을 MAIL과 SMS로 구분하여 선택하고, 전송명을 입력한다. 전송명은 영/숫자, 특수문자( _ 또는 -)만 입력가능하다.
전송할 SMS 또는 MAIL의 스킨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는 화면
현재 스킨의 유형 및 전송명과 최종 버전을 표시한다.
목록 버튼 : 스킨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저장 버튼 : 현재 입력폼에 저장한 정보를 스킨에 저장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스킨을 영구히 삭제한다.
전송 설명 : 해당 스킨의 설명을 입력한다. CMS에 등록되어 있는 폼(비밀번호 찾기 전송 폼(findPassword), 회원정보 재동의 요청 전송 폼(reAgree))의 전송명으로 스킨 등록 시 CMS에서 설정된 변수명의 내용을 제공한다.
제목 : 전송 시 제목을 설정한다. MAIL 또는 LMS 전송일 경우에 사용된다.
프로그램에서 특정 데이터에 대한 map Name 및 map Value 설정 시 데이터 치환을 ‘${mapName}’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MAIL의 경우 HTML 태그를 적용할 수 있다.
자동저장 버튼 : 활성화 시 설정된 시간(분 단위)에 따라 소스코드가 자동 저장된다.
제목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에서 특정 데이터에 대한 map Name 및 map Value 설정 시 데이터 치환을 ‘${mapName}’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버전별 히스토리 영역
(3) 소스코드에 대한 버전별 등록/배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리 버튼 : 최종 버전을 제외한 최근 10건만 남겨두고 이외 버전들을 제거한다.
선택 버튼 : 해당 버전의 소스코드 내용이 (4)에 적용된다.
삭제 버튼 : 해당 버전의 저장 내용이 영구히 삭제된다.
전송할 스킨의 내용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 발신자명, 발신자 메일주소, 수신자명, 수신자 메일주소 입력 후 미리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미리보기 할 수 있다.
메일 발송 활성화 시 SiiRU 설정에 적용된 SMTP 서버를 통해 미리보기 내용을 실제로 발송할 수 있다.
항목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스킨 제목 및 내용에 입력된 데이터 치환(${mapName}) 의 임의값을 설정 및 사용할 수 있다. (Map Key는 변수명, Map Value는 내용)
CMS 및 배포용 홈페이지를 통해 MAIL 및 SMS가 전송된 이력을 확인하는 화면
조회할 기간 및 전송 유형을 선택하고 작업내용을 검색하여 (2)의 목록에 출력한다.
조회 내용의 전체 건수를 표시한다.
이력을 목록으로 표시한다. 목록은 전송구분, 사이트, 작업내용, 일시로 구성된다.
해당 전송 이력의 내용을 표시한다. 전송구분, 사이트, 작업내용, 일시 및 전송된 이력의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공통코드 분류 및 코드를 관리하는 화면
등록된 코드분류의 목록을 표시한다. 선택 시 (4) 영역에 해당 코드분류의 코드 목록을 표시한다.
코드분류 관련 버튼 영역
새 영역 버튼 : 코드분류 선택을 초기화한다.
코드분류 삭제 버튼 : 현재 선택된 코드분류 및 등록된 코드를 영구히 삭제한다.
코드 목록 관련 버튼 영역
추가 버튼 : 현재 코드분류에 새로운 코드를 추가한다. (4) 영역이 (6) 코드 추가 화면으로 변경된다.
코드 목록을 표시한다. 목록은 코드 ID, 코드명, 설명, 선택 버튼으로 구성된다.
코드 ID 좌측 정렬순서 변경 버튼을 드래그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코드는 취소선으로 표시된다.
선택 버튼 : 클릭 시 세부 내용을 표시한다. (4) 영역이 (6) 코드 수정 화면으로 변경된다.
코드 추가/수정 관련 버튼 영역
저장 버튼 : 현재 입력된 코드 내용을 등록 또는 수정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선택된 코드를 영구히 삭제한다.
닫기 버튼 : (6) 영역이 (4) 코드 목록 화면으로 변경된다.
코드 세부 내용 영역
코드 ID, 코드명(언어별), 코드 설명을 입력한다.
적용 사이트 : 코드가 적용될 사이트를 선택한다.
사용유무 : 해당 코드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코드분류 ID, 코드분류명, 코드분류 설명을 입력하고 코드분류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단계가 있는 공통코드를 관리하는 화면
등록된 코드단계의 목록을 표시한다. 선택 시 (4) 영역에 해당 코드단계의 내용을 표시한다.
코드분류 관련 버튼 영역
새 영역 버튼 : 코드분류 선택을 초기화한다.
코드분류 삭제 버튼 : 선택된 코드분류 및 등록된 하위 코드를 영구히 삭제한다.
코드단계 관련 버튼 영역
선택된 코드 위치로 이동 버튼 : 코드 선택 후 해당 코드 위치로 화면을 이동한다.
순서이동 버튼 : 현재 선택된 코드의 순서를 위/아래로 변경할 수 있다. 상/하위 단계로는 이동할 수 없다.
삭제 버튼 : 현재 선택된 코드를 영구히 삭제한다.
코드단계 표시 영역
현재 선택된 코드분류의 코드단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사용하지 않는 코드는 취소선으로 표시된다.
코드 ID, 코드명을 입력하여 여러 개의 최상위 단계 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코드 ID, 코드명을 입력하여 하위 단계 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코드단계 추가 버튼 : 클릭하여 여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하단 영역 : 탭으로 구분된 여러 줄의 코드ID와 코드명을 복사한후 하단 영역을 클릭하고 붙여넣기 단축키(Ctrl+V/Cmd+V)를 입력하면 여러 하위 단계 코드들이 자동으로 추가됨.
(예 : AAAAAA 테스트
BBBBBB 테스트2
CCCCCC 테스트3
위처럼 탭으로 구분된 코드 내용을 복사 후 해당 영역 클릭, 단축키 입력 시 자동으로 추가됨)
코드단계에서 선택한 코드의 코드명 및 사용 유무를 수정할 수 있다.
배포용 홈페이지에서 관리자에게만 표출되는 영역(예 : 로그인, 관리 버튼) 등에 활용되는 특정 IP 대역을 설정하는 화면
본 화면에서 설정한 IP에 대해 표출되는 영역은 아래 [그림 1]의 예시와 같이 소스코드 편집이 가능한 화면에서 기능삽입 모달 클릭 > 함수 > ‘관리IP’ (변수명 : managerIp)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변수는 본 화면에서 허용된 IP일 때 ‘Y’, 허용되지 않은 IP일 때 ‘N’으로 나타난다.
등록된 접근 IP 리스트를 표시한다. 선택 시 (3) 영역에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IP 주소 또는 설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접근 IP는 취소선으로 표시된다.
버튼 영역
새 양식 버튼 : (3)의 입력폼을 초기화한다.
저장 버튼 : 입력된 접근 IP의 내용을 등록 또는 수정한다.
삭제 버튼 : 입력된 접근 IP의 내용을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접근 IP 세부내용 영역
IP 대역, 설명 등을 입력한다.
사용유무 : 해당 접근 IP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CMS 관리자 페이지 접근이 허용되는 특정 IP 대역을 설정하는 화면
허용되지 않은 IP 대역에서 관리자 페이지 접근 시 3.2. 잠금화면이 노출된다.
등록된 접근 IP 리스트를 표시한다. 선택 시 (3) 영역에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IP 주소 또는 설명으로 검색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접근 IP는 취소선으로 표시된다.
버튼 영역
새 양식 버튼 : (3)의 입력폼을 초기화한다.
저장 버튼 : 입력된 접근 IP의 내용을 등록 또는 수정한다.
삭제 버튼 : 입력된 접근 IP의 내용을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접근 IP 세부내용 영역
IP 대역, 설명 등을 입력한다.
사용유무 : 해당 접근 IP의 사용 유무를 선택한다.
시스템 관리에서 설정하는 내용들은 CMS 전체 사이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저장 및 배포 시 신중히 결정하도록 한다.
모든 사이트에 적용되는 페이지들의 소스코드를 관리 및 배포하는 화면
(3) 영역 이외의 항목 및 기능은 5.4. 레이아웃 관리와 동일하다.
3. 모든 사이트에 적용되는 헤더(Header), 푸터(Footer), 인덱스(Index), 기본 스타일(CSS), 기본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경고창(Alert), Not Found(404), Internal Server Error(500), Loop Detected(580), 크롤러 봇 규칙 파일(robots.txt) 등에 대하여 각각 선택 시 (4) 에디터 영역에 소스코드가 입력된다.
4. 소스코드 버튼 : 초기상태의 시스템 소스코드를 열람 및 코드 적용할 수 있다.
자동저장 버튼 : 활성화 시 설정된 시간(분 단위)에 따라 소스코드가 자동 저장된다.
소스코드 에디터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Windows/MacOS)를 제공한다.
[해당 단축키 입력에 대한 설명]
Start searching / Find next/ Find previous : 문자열을 검색하고 이전/다음으로 이동.
Replace / Replace all : 특정 문자열을 하나씩 치환 또는 모두 치환한다.
Jump to line : Line 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한다.
Persistent Search : 특정 문자열을 계속하여 검색한다. (다음 검색 : Enter)
To Matching Tag : 현재 태그의 쌍을 찾는다.
Autocomplete : 텍스트 자동 완성 기능
Full Screen : 에디터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한다.
사이트별 메뉴, 스타일, 레이아웃, 스킨, 콘텐츠, 템플릿을 일괄 배포하는 화면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선택된 사이트에 일괄 배포된다.
소스코드의 버전별 히스토리에 등록되지 않는다.
일괄 배포 버튼 : (2) 영역에서 선택된 사이트 및 대상을 일괄 배포한다.
적용사이트 : CMS에 등록된 전체 사이트가 표시된다. 전체 선택 / 전체 해제 버튼을 클릭하여 전체 사이트를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대상 : 일괄 배포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게시판 : ‘마스터 상단/하단’ 선택 시 게시판 설정 > 통합게시판 관리 > 게시판별 등록/수정 화면(7.1.2. 게시판 등록)에서 설정한 상단/하단 HTML 영역을 재배포할 수 있다. ‘게시판 스킨’ 선택 시 전체 게시판 스킨을 재배포할 수 있다.
CMS 전체에서 차단할 첨부파일 확장자, 포함문자 및 MIME 타입을 관리하는 화면
차단할 첨부파일 확장자를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차단할 첨부파일 포함문자를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차단할 MIME 타입을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버튼 영역
저장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을 저장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 전체를 영구히 삭제한다.
미리 정의 된 스케줄 프로그램의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현재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의 수를 표시한다.
추가 버튼 : 새로운 스케줄 폼을 추가한다.
저장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을 저장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 전체를 영구히 삭제한다.
스케줄 프로그램의 목록을 표시한다. 목록은 스케줄명, 설명, Cron, 적용되는 서버 IP, 사용유무, Delete 버튼으로 구성된다.
사용유무 버튼 선택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내용을 저장한다.
Delete 버튼 : 해당 프로그램을 제거한다.
사용 중인 SiiRU CMS의 영역별 공통 설정을 관리하는 화면
버튼 영역
저장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을 저장한다.
삭제 버튼 : 현재 설정된 내용 전체를 영구히 삭제하고 설정을 초기화한다.
기본 기능 설정 영역
로그인 접속제한 및 비밀번호 변경, 지역구분, 썸네일 기본 설정 관리 등을 항목에 맞게 설정한다.
로그인접속제한 : 사용자 인증 실패 시 접속제한 여부를 CMS용과 배포용 페이지에 따라 설정한다. 오른쪽 필드에 접속제한횟수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1회 이상)
RSA암호화 : 로그인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암호화 전송 여부를 CMS용과 배포용 페이지에 따라 설정한다.
중복로그인 : 로그인 시 중복로그인에 대한 사용 여부를 CMS용과 배포용 페이지에 따라 설정한다. 중복로그인 미사용 시 다른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면 이전 접속이 해제된다.
비밀번호 변경 : 로그인 시 비밀번호 변경일수가 초과되면 비밀번호 변경 알림창이 열리는 것에 대한 사용 여부를 CMS용과 배포용 페이지에 따라 설정한다. 오른쪽 필드에 비밀번호 변경일수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1일 이상)
지역구분 : CMS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지역 구분을 행정동, 법정동 중에 선택한다.
썸네일 구분 : 이미지 파일 업로드 시 생성되는 썸네일의 비율 및 크기를 설정한다.
썸네일 크기 : 썸네일 구분 항목에서 고정 크기 선택 시 적용된다.
SiiRU CMS 임시 인증 : 관리자 페이지를 IP 인증 없이 세션별 임시 허용 여부를 설정한다. 임시 인증 사용 시 비밀번호를 오른쪽 필드에 입력하여 설정한다.
개발 모드 : 개발 모드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개발 모드 사용 시 허용 IP 필드에 입력한 IP에서만 배포판 홈페이지를 볼 수 있고, 허용되지 않은 IP는 인덱스 페이지만 노출된다. 허용 IP 입력 필드는 여러 건을 쉼표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 : 사용 선택 시 관리자 페이지의 [기본 설정 > 시스템 관리] 메뉴에 [Log], [SQL] 등의 메뉴가 노출된다.
회원 기능 설정 영역
로그인 : 배포용 홈페이지의 로그인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비밀번호 변경 : 배포용 홈페이지의 비밀번호 변경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아이디/비밀번호 : 배포용 홈페이지의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가입 : 배포용 홈페이지의 회원가입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정보/수정 : 배포용 홈페이지의 회원정보 및 수정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정보재동의 : 배포용 홈페이지의 회원정보재동의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승인 : 배포용 홈페이지의 회원승인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탈퇴 : 배포용 홈페이지의 회원탈퇴 기능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기본기능 : 회원 관련 기본 기능(위에 명시된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회원정보재동의, 회원탈퇴)을 기본 사이트 또는 모든 사이트에서 사용할 지 여부를 선택한다.
회원탈퇴 조건 : 회원탈퇴 조건이 삭제처리일 경우 인증값, 부모동의, 생년월일, 음/양력, 연령대, 성별, 우편번호, 주소, 지역코드,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전화, 팩스번호의 개인정보의 내용을 실제 테이블 삭제할 것인지, 삭제 처리할 지 여부를 설정하며, 삭제 처리 선택 시 해당 회원의 데이터를 NULL값으로 변경할 지, 실제로는 삭제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설정한다.
회원정보 재동의 사용유무 : 회원정보 재동의 기능의 사용유무를 설정한다.
회원정보 재동의 전송유무 : 회원정보 재동의를 하지 않은 회원에게 메일 및 SMS를 전송하는 기능의 사용유무를 설정한다.
회원정보 재동의 삭제년수 : 재동의를 하지 않은 회원의 정보를 삭제하는 기한을 연도 단위로 입력한다. (예 : 2 입력 → 회원정보 동의/재동의 후 2년이 되는 날까지 재동의를 안 한 경우 해당 회원 정보를 삭제함)
회원정보 재동의 요청일수 : 설정된 삭제년수가 되기 전에 재동의를 요청 전송할 일수를 입력한다. (예 : 90 입력 → 회원정보 동의/재동의 후 2년이 되기 90일 전부터 재동의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회원정보 재동의 전송간격일수 : 회원정보 재동의 요청을 입력된 일수의 간격마다 전송한다.
회원정보 재동의 회원삭제 : 재동의를 하지 않은 회원의 삭제년수가 초과할 경우 회원 정보 삭제 방법을 선택한다.
추가정보 필수여부 : SNS 및 외부로그인이 회원가입 방식일 경우 닉네임/이메일/연령대/성별/지역 정보의 필수 여부를 설정한다.
비밀번호 유효성 여부 : 비밀번호 유효성 여부 사용 시 회원가입 및 비밀번호 변경 시 Java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 유효성 규칙을 사용한다. 미사용 시 아래 필드에 입력된 정규식이 적용된다.
모바일번호 유효성 여부 : 모바일번호 유효성 여부 사용 시 회원가입 및 회원정보 수정 시 Java에서 제공하는 모바일번호 유효성 규칙을 사용한다.
게시판 기능 설정 영역
게시글 개인정보 삭제 : 게시글 중 개인정보(이메일,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개인정보 삭제년수 : 게시글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사용인 경우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게시글의 범위를 년수로 입력한다. (해당 되는 다음년도 1월 1일에 삭제)
게시글 도배방지 : 동일 IP에서 1분동안 게시글 등록횟수를 입력하여 초과되면 게시글 등록을 제한한다. 0을 입력하면 사용안함 설정.
Safari 계열 인코딩 : Safari 계열 브라우저에서 게시글 다운로드 시 오른쪽 인코딩 입력 필드의 인코딩 적용 여부를 설정한다.
솔루션 연동 기능 설정 영역
실명인증 연동 : 실명인증 연동 솔루션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외부로그인 : 외부로그인 연동 시 사용 방식을 설정한다.
SNS 연동 : SNS 연동 솔루션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SNS 가입 : SNS 연동 가입 시 사용 방식을 설정한다.
날씨 : 날씨 조회 솔루션을 사용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되는 날씨예보 조회서비스의 행정동 코드를 입력한다. (예 : 2914074500)
메일 SMTP : CMS 전송 관리에서 사용되는 메일의 SMTP 서버 정보를 입력한다.
메일 SMTP 계정 : 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SMTP 서버의 계정 정보를 입력한다.
SMS 발신정보 : CMS 전송 관리에서 사용되는 SMS의 발신 정보를 입력한다.
CMS의 Log 파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
Log 파일의 경로는 SiiRU 시스템 설정 파일에 ‘SiiRU.LogPath.Real’로 설정되어 있는 경로이다.
버튼 영역
Start 버튼 : (2)에서 로그 파일 선택 후 Start 버튼 클릭 시 로그 내용을 (3)에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Restart 버튼 : SiiRU CMS의 WAS 서비스를 재시작 한다. (※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용에 주의 요망)
선택된 로그 파일 내용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Clear 버튼 클릭 시 화면 내용을 초기화한다.
로그 파일 경로로 설정된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리스트가 출력되고 파일명을 검색할 수 있다. 각 파일의 선택 버튼 클릭 시 해당 파일이 선택되어 실시간 출력을 작동할 수 있고, 다운 버튼 클릭 시 해당 로그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현재 시스템의 DB에 SQL 쿼리를 실행 및 확인할 수 있다.
Execute 명령은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버튼 영역
Select 버튼 : 클릭 시 (2)에 작성한 SQL문의 SELECT 쿼리를 실행한다.
Execute 버튼 : 클릭 시 (2)에 작성한 SQL문의 동적 쿼리를 실행한다.
PL/SQL 버튼 : 클릭 시 (2)에 작성한 프로시저/다중 쿼리를 실행한다.
테이블명세서 버튼 : 클릭 시 현재 DB에 대한 테이블 명세서를 다운로드한다.
SQL 쿼리를 입력한다.
SQL 쿼리 실행 결과가 표시된다.
CMS의 배포용 파일 및 업로드 폴더를 백업하는 화면
백업된 파일은 CMS가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backup 폴더에 생성되며, 사이트 설정 > 파일 관리 화면에서 해당 경로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백업 버튼 : (2)에서 선택한 폴더를 백업한다.
CMS의 배포용 파일이 있는 폴더(Home, JSP) 및 업로드 폴더 중 백업할 폴더를 선택한다.
백업 진행 상황 로그가 표시된다.
링크 : 직접 입력(150자 이내) 또는 게시판 선택 버튼을 클릭 시 을 띄워 링크를 자동 입력한다.
아이콘 : 1차메뉴 아이콘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에서 이미지를 선택한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닉네임, 권한, 인증구분, 이메일, 기본 사이트, 관리 사이트, 생년월일, 연령대, 성별, 전화번호, 모바일번호, 팩스번호, 주소, 지역, 메일링 유무, SMS 수신여부, 사용자 구분, 부모 동의 여부, 프로필 이미지유무, 부서, 직급, 직책, 담당업무, 정렬순서, 사용자 정의 항목, 로그인 유무, 로그인 불가 사유, 최종 로그인/IP/횟수, 패스워드 변경일시, 재동의 일시, 회원 승인일시/승인자명, 등록일시/IP, 최근 수정일시/IP의 내용을 제공한다.
에서 등록된 부서를 조회하여 선택한다.
에 등록된 직급 및 직책, 담당업무, 부서 내 정렬 순서 등을 입력한다.
페이지에서 등록한 비고 항목이 표시되며, 명칭과 형식에 맞게 입력한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사이트, 메뉴명, 페이지, 내용, 일시, IP의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을 띄워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로그유형, 로그구분, 사이트, 휴일여부, 시간외여부, 일시, IP의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을 띄워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로그유형, 내용, 작업자, 일시, IP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을 띄워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사이트, 로그유형, 내용, 작업자, 일시, IP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을 띄워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사이트, 메뉴명, 비밀번호, 개인정보 포함 여부, 해당 파일의 Row 수, 작업명, 사유, 일시, IP의 내용을 제공한다.
사용자명 클릭 시 을 띄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부서 선택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부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원추가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직원을 추가한다.
부서 선택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부서를 선택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사용자ID, 사용자명, 전화번호, 모바일번호, 팩스번호, 부서, 직급, 직책, 담당업무의 내용을 제공한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부서ID, 부서명, 전체부서명, 상위부서ID, 단계, 하위부서개수, 전화번호, 팩스번호, 부서담당, 부서업무, 사용유무의 내용을 제공한다.
부서 복사/이동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현재 부서를 복사 및 이동할 수 있다.
기본 설정 > 시스템 관리 > SiiRU () 화면에서 ‘메일 SMTP’ 정보 또는 ‘SMS 발신정보’의 설정 값이 존재할 때 CMS에서 자동으로 메일 또는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등록 버튼 : 클릭 시 을 띄운다.
미리보기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현재 스킨 내용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
에디터 단축키 버튼 클릭 시 을 띄워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다.
Excel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조회된 내용을 Excel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Excel 파일은 전송유형, 사이트, 작업내용, 일시, IP의 내용을 제공한다.
작업내용 클릭 시 을 띄워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코드분류 추가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새로운 코드분류를 추가할 수 있다.
코드분류 추가 버튼 : 클릭 시 을 띄워 새로운 코드분류를 추가할 수 있다.
최상위 추가 버튼 : 을 띄워 최상위단계의 코드를 등록한다.
하위 추가 버튼 : 을 띄워 현재 선택된 최상위단계의 하위에 코드를 추가한다.
수정 버튼 : 을 띄워 현재 선택된 코드의 내용을 수정한다.
에디터 단축키 버튼 클릭 시 을 띄워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다.
미세먼지 : 미세먼지 조회 솔루션을 사용하기 위해 에어코리아() 에서 제공되는 시도명을 입력한다. (예 : 광주)
로그파일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에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